글 수
4,605
회원 가입
로그인
Classic Style
Zine Style
Gallery Style
EMEdit에서여...
기술지원
조회 수 : 2542
2005.08.11
(21:22:39)
GeneralEdit 에서는 글자수 제한하는 방법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EMEdit 와 DataSet과 Bind 이 되어 있다면
DataSet 의 Bind된 Column 사이즈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bind 하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dit 모드를 GeneralEdit으로 해두면, 글자수 제한을 할 수 있나여?
>어케 해야하는지...
이 게시물을...
http://member.shift.co.kr/index.php?document_srl=238764
(*.115.223.46)
댓글
[0]
목록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225
그리드 소수점에 관한 질문입니다.
기술지원
2843
2005-08-17
해당하는 데이타셋 컬럼의 타입을 무었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서버에서 TB_DECIMAL 10, 3 이런식으로 잡으셨다면 문제없이 소숫점이 나올텐데... 클라이언트에서 DataSetID.text로 찍어서 해당하는 데이타셋 컬럼의 타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 CN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그리드 1.1.1.164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 >그리드에서 소수점에 관한 질문입니다.. >그리드 상에서 소수점이 안나오는데 어떻게 하면 나오나요? >DEC 는 해봤읍니다.. >DB상에서는 DATA가 잘나옵니다. >예를 들면 >0.3 이런게 0.0으로 나타납니다.. >아 그리고 0.3은 varchar형태로 가져오고요 > >그럼 더운날씨에 수고하세요 > > >
224
SUM 이용시 null처리
김인숙
2301
2005-08-13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삼성 SDI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가우스4.0 * DataSet 버전 : UTF 용 * Tr 버전 : UTF 용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다름이 아니오라 데이터 Type이 number인경우 NAME:varchar(100) cnt:NUMBER(22) AAA 20 BBB 20 CCC DDD 50 인 경우 최대/최소/평균 값에 대해서 입니다. 원하는 형태는 null을 제외하고 처리 하는 것입니다. max : 50 min: 20 avg: (10+20+50)/3 = 30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223
SUM 이용시 null처리
기술지원
2293
2005-08-22
현재 DataSet에서는 null인 컬럼을 제외하고 Group 함수를 쓰실 수 없습니다. 스크립트로 처리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삼성 SDI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가우스4.0 >* DataSet 버전 : UTF 용 >* Tr 버전 : UTF 용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다름이 아니오라 > > 데이터 Type이 number인경우 > NAME:varchar(100) cnt:NUMBER(22) > AAA 20 > BBB 20 > CCC > DDD 50 > >인 경우 최대/최소/평균 값에 대해서 입니다. >원하는 형태는 null을 제외하고 처리 하는 것입니다. > max : 50 > min: 20 > avg: (10+20+50)/3 = 30 > >그럼 즐거운 하루되세요.. > >
222
XChart Tools에 관한 질문입니다..
오명식
2471
2005-08-12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LG CN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1.1.0.17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XChart에 관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검색 버튼을 눌렀을때 우선 XChart에 그려져있던 그래프들을 전부 지우고 다시 그리려구 하는데요 제가 그래프는 Series로 되는걸 하구요(막대그래프 같은거) 평균선을 그려야 되서 XChart.Tools.Items(ToolsIdx).asColorLine.Axis = 0; 이것을 쓰고있습니다.. 근데 지우는데서 문제가 생겨서요 막대 그래프는 RemoveAllSeries()이란것을 쓰면 다 지워지는데.. 평균선은 그렇지 않더군요 그래서 찾아 봤더니.. Tools.Delete(0)라는게 있는데.. 이건 전부 지워지지 않고 지정된것만 지워지는 건데 전 전부 지워지는 것을 해야되거든요.. 참고로 for문 돌려서 해봐라 이렇게 말씀 하실려구 하거든...하지 마세요 그것도 해보았는데 잘 안되더군요...범위에 벚어난다나... 위에 막대 그래프처럼 전부 지워지는 메소드는 없나요? 이게 꼭 필요하거든요... 그럼 더운날씨에 수고 하세요...
221
XChart Tools에 관한 질문입니다..
기술지원
3228
2005-08-12
기존에 Tools 를 제거하는 기능 중에 XChart.Tools.Clear(); 속성을 참고하십시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 CN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1.1.0.17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XChart에 관한 문의를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검색 버튼을 눌렀을때 >우선 XChart에 그려져있던 그래프들을 전부 지우고 >다시 그리려구 하는데요 >제가 그래프는 Series로 되는걸 하구요(막대그래프 같은거) >평균선을 그려야 되서 >XChart.Tools.Items(ToolsIdx).asColorLine.Axis = 0; >이것을 쓰고있습니다.. >근데 지우는데서 문제가 생겨서요 >막대 그래프는 RemoveAllSeries()이란것을 쓰면 다 지워지는데.. >평균선은 그렇지 않더군요 >그래서 찾아 봤더니.. >Tools.Delete(0)라는게 있는데.. >이건 전부 지워지지 않고 지정된것만 지워지는 건데 >전 전부 지워지는 것을 해야되거든요.. >참고로 for문 돌려서 해봐라 이렇게 말씀 하실려구 하거든...하지 마세요 >그것도 해보았는데 잘 안되더군요...범위에 벚어난다나... >위에 막대 그래프처럼 전부 지워지는 메소드는 없나요? >이게 꼭 필요하거든요... > >그럼 더운날씨에 수고 하세요... >
220
XChart Tools에 관한 질문입니다..
오명식
2420
2005-08-12
감사합니다...
219
프린트에 이미지추가해도 보이지가 않아요!
최수빈
2406
2005-08-10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LGCNS해외법인조달협업시스템구축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가우스 4.0 * 내용 : 저희가 지금 사용하는 클래스id가 이렇구요... - GRID = "CLSID:71E7ACA0-EF63-4055-9894-229B056E9C31" - DATASET = "CLSID:AF989B7C-8AC3-40bc-B749-EB335BDFD190" - REPORT = "CLSID:9683681E-FAD6-45f1-86B3-FD60C7101BC9" 리포팅할때 이미지를 넣었는데, 나타나지가 않네요. sample이 있길래 그대로 하는데도 안나타나거든요. 혹시 뭔가를 추가해줘야하는지요? 아래처럼 하면 되는것 아닌가여? 급하니깐 빨랑 답변좀.... <object id="rt_InqPO" classid="<%= KeyUtil.GC_REPORT %>"> <param name="MasterDataID" value="ds_rtMaster"> <param name="DetailDataID" value="ds_InqPoDtl"> <param name="LandScape" value="true"> <param name="PreviewZoom" value="80"> <param name="PaperSize" value="A4"> <param name="FixPaperSize" value="true"> <param name="ImagSyncFlag" value="false"> <param name="Format" value=" <B>id=FHeader ,left=0,top=0 ,right=2871 ,bottom=344 ,face='Arial' ,size=10 ,penwidth=1 <C>id='companyNm', left=2426, top=198, right=2715, bottom=249,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L> left=2569 ,top=127 ,right=2371 ,bottom=228 </L> <L> left=2566 ,top=127 ,right=2768 ,bottom=228 </L> <L> left=2373 ,top=225 ,right=2569 ,bottom=325 </L> <L> left=2765 ,top=228 ,right=2564 ,bottom=325 </L> <C>id='poNo', left=259, top=257, right=743, bottom=302, align='left'</C> <T>id=': ' ,left=209 ,top=257 ,right=257 ,bottom=302 ,align='left'</T> <T>id=': ' ,left=1820 ,top=259 ,right=1871 ,bottom=302 ,align='left'</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Terms Price", request) %>' ,left=1630 ,top=259 ,right=1820 ,bottom=302 ,align='left'</T> <C>id='priceTerm', left=1871, top=259, right=2355, bottom=302, align='left'</C>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O No", request) %>' ,left=19 ,top=257 ,right=209 ,bottom=302 ,align='left'</T> <T>id=': ' ,left=209 ,top=299 ,right=257 ,bottom=344 ,align='left'</T> <C>id='lotNo', left=259, top=299, right=743, bottom=344, align='left'</C> <T>id='<%= DMultiLangUtil.getMessage("Lot No", request) %>' ,left=19 ,top=299 ,right=209 ,bottom=344 ,align='left'</T> <C>id='currency', left=1871, top=299, right=2355, bottom=344, align='left'</C> <T>id='<%= DMultiLangUtil.getMessage("Currency", request) %>' ,left=1630 ,top=299 ,right=1820 ,bottom=344 ,align='left'</T> <T>id=': ' ,left=1820 ,top=299 ,right=1871 ,bottom=344 ,align='left'</T> <C>id='vendor', left=1871, top=217, right=2355, bottom=262, align='left'</C> <T>id='<%= DMultiLangUtil.getMessage("Supplier No", request) %>' ,left=1630 ,top=217 ,right=1820 ,bottom=262 ,align='left'</T> <T>id=': ' ,left=1820 ,top=217 ,right=1871 ,bottom=262 ,align='left'</T> <C>id='orderDate', left=259, top=217, right=743, bottom=262, align='left' ,mask='XXXX-XX-XX'</C> <T>id=': ' ,left=209 ,top=217 ,right=257 ,bottom=262 ,align='left'</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Order Date", request) %>' ,left=19 ,top=217 ,right=209 ,bottom=262 ,align='left'</T> <C>id='supplierNm', left=1127, top=122, right=2119,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T>id='Supplier :' ,left=968 ,top=122 ,right=1127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DIV", request) %> :' ,left=16 ,top=122 ,right=108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C>id='divNm', left=108, top=122, right=593,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URCHASE ORDER", request) %>' ,left=651 ,top=19 ,right=2106 ,bottom=114 ,face='Arial' ,size=14 ,bold=tru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B> <B>id=DHeader ,left=0,top=0 ,right=2871 ,bottom=69 ,face='Arial' ,size=10 ,penwidth=1 <L> left=19 ,top=0 ,right=2778 ,bottom=0 </L> <L> left=21 ,top=0 ,right=21 ,bottom=69 </L>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69 </L> <L> left=140 ,top=0 ,right=140 ,bottom=69 </L> <L> left=352 ,top=0 ,right=352 ,bottom=69 </L> <L> left=1169 ,top=0 ,right=1169 ,bottom=69 </L> <L> left=1392 ,top=0 ,right=1392 ,bottom=69 </L>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69 </L>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69 </L>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69 </L>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69 </L> <T>id='<%= DMultiLangUtil.getMessage("Seq", request) %>' ,left=24 ,top=3 ,right=138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art No", request) %>' ,left=143 ,top=3 ,right=352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HS No", request) %>' ,left=1175 ,top=3 ,right=1392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UOM", request) %>' ,left=1394 ,top=3 ,right=1468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Order Qty", request) %>' ,left=1471 ,top=3 ,right=1849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Unit Price", request) %>' ,left=1855 ,top=3 ,right=2207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Amount", request) %>' ,left=2212 ,top=3 ,right=2537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Maker", request) %>' ,left=2543 ,top=3 ,right=2778 ,bottom=64</T> <T>id='<%= DMultiLangUtil.getMessage("Description", request) %> & <%= DMultiLangUtil.getMessage("Spec", request) %>' ,left=355 ,top=3 ,right=1169 ,bottom=64</T> </B> <B>id=default ,left=0,top=0 ,right=2871 ,bottom=232 ,face='Arial' ,size=10 ,penwidth=1 <L> left=19 ,top=0 ,right=2778 ,bottom=0 </L> <C>id='maker', left=2543, top=5, right=2778, bottom=230</C> <C>id='poAmountF', left=2212, top=5, right=2540, bottom=230, align='right', Dec=0</C> <C>id='unitPrice', left=1855, top=5, right=2209, bottom=230, align='right', Dec=0</C> <C>id='orderQuantity', left=1471, top=5, right=1849, bottom=230, align='right', Dec=0</C> <C>id='itemUnit', left=1394, top=5, right=1468, bottom=230</C> <C>id='hsNo', left=1175, top=5, right=1392, bottom=230</C> <C>id='partNo', left=143, top=5, right=349, bottom=230</C> <C>id='poSeq', left=24, top=5, right=138, bottom=230</C>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233 </L> <L> left=140 ,top=0 ,right=140 ,bottom=233 </L> <L> left=352 ,top=0 ,right=352 ,bottom=233 </L> <L> left=1169 ,top=0 ,right=1169 ,bottom=233 </L> <L> left=1392 ,top=0 ,right=1392 ,bottom=233 </L>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233 </L>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233 </L>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233 </L>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233 </L> <L> left=21 ,top=0 ,right=21 ,bottom=233 </L> <C>id='itemDescription', left=360, top=5, right=1167, bottom=111, align='left', Multiline=true</C> <C>id='itemSpecification', left=360, top=116, right=1167, bottom=230, align='left', Multiline=true</C> </B> <B>id=DFooter ,left=0,top=0 ,right=2871 ,bottom=0 ,face='Arial' ,size=10 ,penwidth=1 <L> left=21 ,top=0 ,right=2781 ,bottom=0 </L> </B> <B>id=LDFooter ,left=0,top=0 ,right=2871 ,bottom=87 ,face='Arial' ,size=10 ,penwidth=1 <L> left=19 ,top=0 ,right=19 ,bottom=87 </L>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87 </L>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87 </L>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87 </L>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87 </L>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87 </L> <T>id='** <%= DMultiLangUtil.getMessage("Total", request) %> **' ,left=646 ,top=13 ,right=852 ,bottom=74</T> <S>id='{Sum(orderQuantity)}' ,left=1471 ,top=13 ,right=1849 ,bottom=74 ,align='right', Dec=2</S> <S>id='{Sum(poAmountF)}' ,left=2212 ,top=13 ,right=2537 ,bottom=74 ,align='right', Dec=5</S> <L> left=21 ,top=87 ,right=2781 ,bottom=87 </L> </B> <B>id=Footer ,left=0 ,top=1900 ,right=2871 ,bottom=2000 ,face='Arial' ,size=10 ,penwidth=1 <T>id='#p / #t' ,left=1273 ,top=0 ,right=1535 ,bottom=58</T> <I>id='<%=ls_img_package%>icon/lge_ci.gif' ,left=1500 ,top=0 ,right=2770 ,bottom=71</I> </B> "> </object>
218
프린트에 이미지추가해도 보이지가 않아요!
기술지원
2519
2005-08-11
Report 에 이미지 표현를 <I>id='<%=ls_img_package%>icon/lge_ci.gif' ,left=1500 ,top=0 ,right=2770 ,bottom=71</I> 하셨는데, 이미지는 *.jpg , *.bmp 만 지원됩니다. 이미지 타입을 *.gif ---> *.jpg 로 변경하십시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CNS해외법인조달협업시스템구축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가우스 4.0 >* 내용 : > 저희가 지금 사용하는 클래스id가 이렇구요... > - GRID = "CLSID:71E7ACA0-EF63-4055-9894-229B056E9C31" > - DATASET = "CLSID:AF989B7C-8AC3-40bc-B749-EB335BDFD190" > - REPORT = "CLSID:9683681E-FAD6-45f1-86B3-FD60C7101BC9" > >리포팅할때 이미지를 넣었는데, 나타나지가 않네요. >sample이 있길래 그대로 하는데도 안나타나거든요. >혹시 뭔가를 추가해줘야하는지요? >아래처럼 하면 되는것 아닌가여? >급하니깐 빨랑 답변좀.... > ><object id="rt_InqPO" classid="<%= KeyUtil.GC_REPORT %>"> > <param name="MasterDataID" value="ds_rtMaster"> > <param name="DetailDataID" value="ds_InqPoDtl"> > <param name="LandScape" value="true"> > <param name="PreviewZoom" value="80"> > <param name="PaperSize" value="A4"> > <param name="FixPaperSize" value="true"> > <param name="ImagSyncFlag" value="false"> > <param name="Format" value=" > <B>id=FHeader ,left=0,top=0 ,right=2871 ,bottom=344 ,face='Arial' ,size=10 ,penwidth=1 > <C>id='companyNm', left=2426, top=198, right=2715, bottom=249,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 <L> left=2569 ,top=127 ,right=2371 ,bottom=228 </L> > <L> left=2566 ,top=127 ,right=2768 ,bottom=228 </L> > <L> left=2373 ,top=225 ,right=2569 ,bottom=325 </L> > <L> left=2765 ,top=228 ,right=2564 ,bottom=325 </L> > <C>id='poNo', left=259, top=257, right=743, bottom=302, align='left'</C> > <T>id=': ' ,left=209 ,top=257 ,right=257 ,bottom=302 ,align='left'</T> > <T>id=': ' ,left=1820 ,top=259 ,right=1871 ,bottom=302 ,align='left'</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Terms Price", request) %>' ,left=1630 ,top=259 ,right=1820 ,bottom=302 ,align='left'</T> > <C>id='priceTerm', left=1871, top=259, right=2355, bottom=302, align='left'</C>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O No", request) %>' ,left=19 ,top=257 ,right=209 ,bottom=302 ,align='left'</T> > <T>id=': ' ,left=209 ,top=299 ,right=257 ,bottom=344 ,align='left'</T> > <C>id='lotNo', left=259, top=299, right=743, bottom=344, align='left'</C>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Lot No", request) %>' ,left=19 ,top=299 ,right=209 ,bottom=344 ,align='left'</T> > <C>id='currency', left=1871, top=299, right=2355, bottom=344, align='left'</C>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Currency", request) %>' ,left=1630 ,top=299 ,right=1820 ,bottom=344 ,align='left'</T> > <T>id=': ' ,left=1820 ,top=299 ,right=1871 ,bottom=344 ,align='left'</T> > <C>id='vendor', left=1871, top=217, right=2355, bottom=262, align='left'</C>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Supplier No", request) %>' ,left=1630 ,top=217 ,right=1820 ,bottom=262 ,align='left'</T> > <T>id=': ' ,left=1820 ,top=217 ,right=1871 ,bottom=262 ,align='left'</T> > <C>id='orderDate', left=259, top=217, right=743, bottom=262, align='left' ,mask='XXXX-XX-XX'</C> > <T>id=': ' ,left=209 ,top=217 ,right=257 ,bottom=262 ,align='left'</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Order Date", request) %>' ,left=19 ,top=217 ,right=209 ,bottom=262 ,align='left'</T> > <C>id='supplierNm', left=1127, top=122, right=2119,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 <T>id='Supplier :' ,left=968 ,top=122 ,right=1127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DIV", request) %> :' ,left=16 ,top=122 ,right=108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 <C>id='divNm', left=108, top=122, right=593, bottom=188, align='left', face='Arial', size=11, bold=fals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C>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URCHASE ORDER", request) %>' ,left=651 ,top=19 ,right=2106 ,bottom=114 ,face='Arial' ,size=14 ,bold=true ,underline=false ,italic=false ,forecolor=#000000 ,backcolor=#FFFFFF</T> > </B> > <B>id=DHeader ,left=0,top=0 ,right=2871 ,bottom=69 ,face='Arial' ,size=10 ,penwidth=1 > <L> left=19 ,top=0 ,right=2778 ,bottom=0 </L> > <L> left=21 ,top=0 ,right=21 ,bottom=69 </L> >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69 </L> > <L> left=140 ,top=0 ,right=140 ,bottom=69 </L> > <L> left=352 ,top=0 ,right=352 ,bottom=69 </L> > <L> left=1169 ,top=0 ,right=1169 ,bottom=69 </L> > <L> left=1392 ,top=0 ,right=1392 ,bottom=69 </L> >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69 </L> >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69 </L> >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69 </L> >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69 </L>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Seq", request) %>' ,left=24 ,top=3 ,right=138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Part No", request) %>' ,left=143 ,top=3 ,right=352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HS No", request) %>' ,left=1175 ,top=3 ,right=1392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UOM", request) %>' ,left=1394 ,top=3 ,right=1468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Order Qty", request) %>' ,left=1471 ,top=3 ,right=1849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Unit Price", request) %>' ,left=1855 ,top=3 ,right=2207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Amount", request) %>' ,left=2212 ,top=3 ,right=2537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Maker", request) %>' ,left=2543 ,top=3 ,right=2778 ,bottom=64</T> > <T>id='<%= DMultiLangUtil.getMessage("Description", request) %> & <%= DMultiLangUtil.getMessage("Spec", request) %>' ,left=355 ,top=3 ,right=1169 ,bottom=64</T> > </B> > <B>id=default ,left=0,top=0 ,right=2871 ,bottom=232 ,face='Arial' ,size=10 ,penwidth=1 > <L> left=19 ,top=0 ,right=2778 ,bottom=0 </L> > <C>id='maker', left=2543, top=5, right=2778, bottom=230</C> > <C>id='poAmountF', left=2212, top=5, right=2540, bottom=230, align='right', Dec=0</C> > <C>id='unitPrice', left=1855, top=5, right=2209, bottom=230, align='right', Dec=0</C> > <C>id='orderQuantity', left=1471, top=5, right=1849, bottom=230, align='right', Dec=0</C> > <C>id='itemUnit', left=1394, top=5, right=1468, bottom=230</C> > <C>id='hsNo', left=1175, top=5, right=1392, bottom=230</C> > <C>id='partNo', left=143, top=5, right=349, bottom=230</C> > <C>id='poSeq', left=24, top=5, right=138, bottom=230</C> >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233 </L> > <L> left=140 ,top=0 ,right=140 ,bottom=233 </L> > <L> left=352 ,top=0 ,right=352 ,bottom=233 </L> > <L> left=1169 ,top=0 ,right=1169 ,bottom=233 </L> > <L> left=1392 ,top=0 ,right=1392 ,bottom=233 </L> >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233 </L> >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233 </L> >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233 </L> >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233 </L> > <L> left=21 ,top=0 ,right=21 ,bottom=233 </L> > <C>id='itemDescription', left=360, top=5, right=1167, bottom=111, align='left', Multiline=true</C> > <C>id='itemSpecification', left=360, top=116, right=1167, bottom=230, align='left', Multiline=true</C> > </B> > <B>id=DFooter ,left=0,top=0 ,right=2871 ,bottom=0 ,face='Arial' ,size=10 ,penwidth=1 > <L> left=21 ,top=0 ,right=2781 ,bottom=0 </L> > </B> > <B>id=LDFooter ,left=0,top=0 ,right=2871 ,bottom=87 ,face='Arial' ,size=10 ,penwidth=1 > <L> left=19 ,top=0 ,right=19 ,bottom=87 </L> > <L> left=1468 ,top=0 ,right=1468 ,bottom=87 </L> > <L> left=1852 ,top=0 ,right=1852 ,bottom=87 </L> > <L> left=2209 ,top=0 ,right=2209 ,bottom=87 </L> > <L> left=2540 ,top=0 ,right=2540 ,bottom=87 </L> > <L> left=2778 ,top=0 ,right=2778 ,bottom=87 </L> > <T>id='** <%= DMultiLangUtil.getMessage("Total", request) %> **' ,left=646 ,top=13 ,right=852 ,bottom=74</T> > <S>id='{Sum(orderQuantity)}' ,left=1471 ,top=13 ,right=1849 ,bottom=74 ,align='right', Dec=2</S> > <S>id='{Sum(poAmountF)}' ,left=2212 ,top=13 ,right=2537 ,bottom=74 ,align='right', Dec=5</S> > <L> left=21 ,top=87 ,right=2781 ,bottom=87 </L> > </B> > <B>id=Footer ,left=0 ,top=1900 ,right=2871 ,bottom=2000 ,face='Arial' ,size=10 ,penwidth=1 > <T>id='#p / #t' ,left=1273 ,top=0 ,right=1535 ,bottom=58</T> > <I>id='<%=ls_img_package%>icon/lge_ci.gif' ,left=1500 ,top=0 ,right=2770 ,bottom=71</I> > </B> > "> ></object>
217
데이타 값에 따라 bgcolor 를 설정하는 방법은?
조동선
2776
2005-08-09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gmf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4.0 * DataSet 버전 : 4.0 * Tr 버전 : 4.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데이타 조회후 데이타의 값에 따라 바탕색을 지정해야 하는 문젠데요... 대상 데이타가 a, b, c 라고 가정할 때, 리스트에서 a, b, c 의 데이타가 같은 라인은 '회색', a, b, c 값이 달라지면 '흰색'으로 세팅합니다. 또, a, b, c 값이 달라지면 다시 '회색'으로 세팅해야 합니다. 즉, a, b, c 데이타를 그룹으로 생각했을때,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서 '회색' 과 '흰색'을 번갈아 표현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리드 상에서 sort하였을때 sort된 데이타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바탕색이 다시 세팅되야 하구요. 부탁합니다. 이거 안 하면 안된다고 하네요. 현업에서. 그리드에 표현 되는 데이타를 접근하는 방법이랑, sort 를 하였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모르겠네요... ㅠㅠ
216
데이타 값에 따라 bgcolor 를 설정하는 방법은?
기술지원
2621
2005-08-09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gmf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4.0 >* DataSet 버전 : 4.0 >* Tr 버전 : 4.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 데이타 조회후 데이타의 값에 따라 바탕색을 지정해야 하는 문젠데요... > 대상 데이타가 a, b, c 라고 가정할 때, 리스트에서 a, b, c 의 데이타가 같은 라인은 '회색', a, b, c 값이 달라지면 > '흰색'으로 세팅합니다. 또, a, b, c 값이 달라지면 다시 '회색'으로 세팅해야 합니다. > 즉, a, b, c 데이타를 그룹으로 생각했을때,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서 '회색' 과 '흰색'을 번갈아 표현해야 합니다. > 그리고, 그리드 상에서 sort하였을때 sort된 데이타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바탕색이 다시 세팅되야 하구요. > > 부탁합니다. 이거 안 하면 안된다고 하네요. 현업에서. > > 그리드에 표현 되는 데이타를 접근하는 방법이랑, sort 를 하였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 모르겠네요... ㅠㅠ > Grid의 decode 를 사용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FAQ를 참조하세요... Row 별로 색상 바꾸는 예제가 있습니다.
215
FAQ 17, 18, 19번 Grid_Row별 .... 는 아닌듯 싶네요. 추가 설명 내용 올립니다.
조동선
2521
2005-08-10
>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gmf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4.0 >>* DataSet 버전 : 4.0 >>* Tr 버전 : 4.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 데이타 조회후 데이타의 값에 따라 바탕색을 지정해야 하는 문젠데요... >> 대상 데이타가 a, b, c 라고 가정할 때, 리스트에서 a, b, c 의 데이타가 같은 라인은 '회색', a, b, c 값이 달라지면 >> '흰색'으로 세팅합니다. 또, a, b, c 값이 달라지면 다시 '회색'으로 세팅해야 합니다. >> 즉, a, b, c 데이타를 그룹으로 생각했을때,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서 '회색' 과 '흰색'을 번갈아 표현해야 합니다. >> 그리고, 그리드 상에서 sort하였을때 sort된 데이타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바탕색이 다시 세팅되야 하구요. >> >> 부탁합니다. 이거 안 하면 안된다고 하네요. 현업에서. >> >> 그리드에 표현 되는 데이타를 접근하는 방법이랑, sort 를 하였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 모르겠네요... ㅠㅠ >> > >Grid의 decode 를 사용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FAQ를 참조하세요... Row 별로 색상 바꾸는 예제가 있습니다. > FAQ 17, 18, 19번 Grid_Row별 .... 이거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제가 말한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신것 같군요 예제에 나와있는 것은 데이타의 값을 단지 참조하고 비교해서 나온 것이구요... 제가 원하는 것은 데이타가 그룹별로 정렬되어서 뿌려지는데, 그룹과 그룹를 색으로 구분해 주기 위한 겁니다. 물론 그룹 하나에는 1건의 레코드 데이타가 있을 수도 있고, 여러건의 레코드 데이타가 있을 수도 있고요... 그래서 decode 함수 하나로 처리를 할 수가 없어요...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요. 제 설명이 헛갈릴수 있으니, 실제 가우스를 사용하지 않았을때 적용되는 스크립트 를 보여드릴게요. (아래) ============================================================================================= var group_cnt = 0; var class_group = ""; for(var i=1; i<ds_counterOfferList.CountRow; i++){ var loadingPortCd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loadingPortCd"); var finalDestCd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finalDestCd"); var gubun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gubun"); var tmp_group = loadingPortCd + finalDestCd + gubun; var bg_color = ""; if(i==0) class_group = tmp_group; if(class_group!=tmp_group){ class_group = tmp_group; group_cnt++; } if(group_cnt%2==0) bg_color = "#FFFFFF"; else bg_color = "#F6E4EE"; document.gr_counterOfferList.ColumnProp('fZoneName','BgColor') = bg_color; } ============================================================================================= 위 소스에서 보듯이, loadingPortCd, finalDestCd, gubun이 그룹을 구분하는 키가 되는 칼럼입니다. 이 3개의 값이 같으면 같은 그룹이겠죠. 그리고 같은 색으로 표현되어야 하구요. 암튼 이런 형태인데, 이걸 decode나 if로 어떻게 표현하나요? 가우스 사용자 함수를 만들수 있으면 가능하겠지만... 잘 부탁 드립니다.
214
FAQ 17, 18, 19번 Grid_Row별 .... 는 아닌듯 싶네요. 추가 설명 내용 올립니다.
기술지원
3228
2005-08-13
음..이런 경우라면 색상정보을 Dataset내에의 컬럼에 지정하시고 사용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이런 형태로 쓰시면 됩니다. bgcolor=$COLUMN_ID 자세한 사항은 메뉴얼을 참고하세요... >>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gmfs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4.0 >>>* DataSet 버전 : 4.0 >>>* Tr 버전 : 4.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 데이타 조회후 데이타의 값에 따라 바탕색을 지정해야 하는 문젠데요... >>> 대상 데이타가 a, b, c 라고 가정할 때, 리스트에서 a, b, c 의 데이타가 같은 라인은 '회색', a, b, c 값이 달라지면 >>> '흰색'으로 세팅합니다. 또, a, b, c 값이 달라지면 다시 '회색'으로 세팅해야 합니다. >>> 즉, a, b, c 데이타를 그룹으로 생각했을때, 그룹을 구분하기 위해서 '회색' 과 '흰색'을 번갈아 표현해야 합니다. >>> 그리고, 그리드 상에서 sort하였을때 sort된 데이타에 대해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바탕색이 다시 세팅되야 하구요. >>> >>> 부탁합니다. 이거 안 하면 안된다고 하네요. 현업에서. >>> >>> 그리드에 표현 되는 데이타를 접근하는 방법이랑, sort 를 하였을 때 발생하는 이벤트를 알면 가능할 것도 같은데 >>> 모르겠네요... ㅠㅠ >>> >> >>Grid의 decode 를 사용하시면 될것 같은데요... >>FAQ를 참조하세요... Row 별로 색상 바꾸는 예제가 있습니다. >> > >FAQ 17, 18, 19번 Grid_Row별 .... >이거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제가 말한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신것 같군요 >예제에 나와있는 것은 데이타의 값을 단지 참조하고 비교해서 나온 것이구요... >제가 원하는 것은 데이타가 그룹별로 정렬되어서 뿌려지는데, 그룹과 그룹를 색으로 구분해 주기 위한 겁니다. >물론 그룹 하나에는 1건의 레코드 데이타가 있을 수도 있고, 여러건의 레코드 데이타가 있을 수도 있고요... >그래서 decode 함수 하나로 처리를 할 수가 없어요...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요. > >제 설명이 헛갈릴수 있으니, 실제 가우스를 사용하지 않았을때 적용되는 스크립트 를 보여드릴게요. (아래) > >============================================================================================= > var group_cnt = 0; > var class_group = ""; > for(var i=1; i<ds_counterOfferList.CountRow; i++){ > var loadingPortCd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loadingPortCd"); > var finalDestCd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finalDestCd"); > var gubun = document.ds_counterOfferList.NameValue(i,"gubun"); > var tmp_group = loadingPortCd + finalDestCd + gubun; > var bg_color = ""; > > if(i==0) class_group = tmp_group; > > if(class_group!=tmp_group){ > class_group = tmp_group; > group_cnt++; > } > if(group_cnt%2==0) bg_color = "#FFFFFF"; > else bg_color = "#F6E4EE"; > > document.gr_counterOfferList.ColumnProp('fZoneName','BgColor') = bg_color; > } >============================================================================================= >위 소스에서 보듯이, loadingPortCd, finalDestCd, gubun이 그룹을 구분하는 키가 되는 칼럼입니다. >이 3개의 값이 같으면 같은 그룹이겠죠. 그리고 같은 색으로 표현되어야 하구요. > >암튼 이런 형태인데, 이걸 decode나 if로 어떻게 표현하나요? 가우스 사용자 함수를 만들수 있으면 가능하겠지만... > >잘 부탁 드립니다.
213
textarea 에서 엔터를 쳐서 DB에 입력하면, enter가 빠져있고 문자열이 이어서 나옵니다.
이남경
2470
2005-08-08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삼성SDI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GAUSE3.5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textarea 에서 엔터를 쳐서 DB에 입력하고, 다시 불러오면, enter 가 빠지고........ 문자열이 이어서 쭉 ~ 붙어있습니다. (db에도 Enter값이 따로 안들어가는 거 같군요.) 어떻게 엔터를 인식시켜야 하나요? 빠른 답변 부탁합니다.
212
textarea 에서 엔터를 쳐서 DB에 입력하면, enter가 빠져있고 문자열이 이어서 나옵니다.
기술지원
2622
2005-08-09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삼성SDI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GAUSE3.5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 > textarea 에서 엔터를 쳐서 DB에 입력하고, 다시 불러오면, enter 가 빠지고........ 문자열이 이어서 쭉 ~ > 붙어있습니다. (db에도 Enter값이 따로 안들어가는 거 같군요.) > > 어떻게 엔터를 인식시켜야 하나요? > > 빠른 답변 부탁합니다. 유선상으로 알려드렸습니다.
211
EMEdit에서여...
최수빈
2364
2005-08-03
Edit 모드를 GeneralEdit으로 해두면, 글자수 제한을 할 수 있나여? 어케 해야하는지...
EMEdit에서여...
기술지원
2542
2005-08-11
GeneralEdit 에서는 글자수 제한하는 방법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EMEdit 와 DataSet과 Bind 이 되어 있다면 DataSet 의 Bind된 Column 사이즈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bind 하는 방법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Edit 모드를 GeneralEdit으로 해두면, 글자수 제한을 할 수 있나여? >어케 해야하는지...
209
50077
아무개
2386
2005-08-01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KT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java.lang.StringIndexOutOfBoundsException: length must be >= 0 at java.lang.String.<init>(String.java:362) at java.lang.String.<init>(String.java:411) at com.gauce.io.GauceDataInputStream.readString(GauceDataInputStream) at com.gauce.io.bin.BINRequest.c(BINRequest) at com.gauce.io.bin.BINRequest.parse(BINRequest) at com.gauce.engine.GauceServiceHandler.getGauceRequest(GauceServiceHandler) at com.gauce.engine.GauceServiceHandler.getGauceRequest(GauceServiceHandler) at jsp_servlet._bela._bela100.__bela110ectl._jspService(__bela110ectl.java:233) at weblogic.servlet.jsp.JspBase.service(JspBase.java:27)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StubImpl.invokeServlet(ServletStubImpl.java:265)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StubImpl.invokeServlet(ServletStubImpl.java:200)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invokeServlet(WebAppServletContext.java:2495)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execute(ServletRequestImpl.java:2204) at weblogic.kernel.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139) at weblogic.kernel.ExecuteThread.run(ExecuteThread.java:120) TR 관련해서 POST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왜 그런지요?
208
50077
기술지원
2925
2005-08-08
Client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Header 정보와 Server에서 Client 의 Header 의 Index 갯수가 틀려서 나오는 에러 입니다. 실제 Client에서 넘겨주는 컬럼정보와 Server에서 컬럼정보가 올바르게 매핑이 되어 있는지 확인 해 보세요 Client 에서 DataSetID.text 를 찍어서 헤더 정보를 확인하시고, 서버에서 index 를 제대로 설정했는지 확인 해 보세요 그리고 파일업로드하는 경우라면 서버에서는 URL외 type, size 정보를 별도로 빼야 하기 때문에 index 관리를 잘 하셔야 합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KT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 >java.lang.StringIndexOutOfBoundsException: length must be >= 0 > at java.lang.String.<init>(String.java:362) > at java.lang.String.<init>(String.java:411) > at com.gauce.io.GauceDataInputStream.readString(GauceDataInputStream) > at com.gauce.io.bin.BINRequest.c(BINRequest) > at com.gauce.io.bin.BINRequest.parse(BINRequest) > at com.gauce.engine.GauceServiceHandler.getGauceRequest(GauceServiceHandler) > at com.gauce.engine.GauceServiceHandler.getGauceRequest(GauceServiceHandler) > at jsp_servlet._bela._bela100.__bela110ectl._jspService(__bela110ectl.java:233) > at weblogic.servlet.jsp.JspBase.service(JspBase.java:27) >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StubImpl.invokeServlet(ServletStubImpl.java:265) >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StubImpl.invokeServlet(ServletStubImpl.java:200) >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invokeServlet(WebAppServletContext.java:2495) >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execute(ServletRequestImpl.java:2204) > at weblogic.kernel.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139) > at weblogic.kernel.ExecuteThread.run(ExecuteThread.java:120) >TR 관련해서 POST하면 이렇게 나옵니다. >왜 그런지요?
207
Grid 에서 이 게시판 처럼 각 컬럼 사이에 있는 라인을 안보이게 할수있나요?
김경식
2456
2005-08-01
Grid 디자인에 대한 질문 입니다. 1. 이 게시판의 리스트 처럼 row별 라인만 그릴 수 있는지요? (column의 라인은 빼고) 2. header 의 column 구분라인을 원하는 모양으로 바꿀 수 있는지요? (안된다면 header에 이미지 삽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3. Grid전체에서 왼쪽의 라인은 안보이게 할 수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오른쪽의 라인도 지울 수 있는지요? 4. 각 컴포넌트에서 가우스 프로퍼티 외에 스타일 같은 것이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206
report 출력할 때 data set 관련 질문
홍진
2545
2005-07-29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안녕하세요. 제가 가우스 report 콤퍼넌트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데 하나 문제 생겼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report 콤퍼넌트는 master 성과 detail성으로 2개의 dataset을 연결 시킬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은 제가 dataset 5~10개를 이용하여 리포트를 구현해야 합니다. 멀티로 데이터셋을 연결 시키는 방법이 있는지요? FAQ자료를 보니까 엑셀 같은 경우는 여러 dataset를 한 엑셀 파일로 첨부해서 처리 하는 소스를 본거 같습니다. 리포트도 가능할까요? 만약에 가능하다면 참조 소스를 좀 올려주세요.
첫 페이지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끝 페이지
Tag List
제목
내용
제목+내용
댓글
이름
닉네임
아이디
태그
목록
쓰기
Close Login Layer
XE Login
아이디
비밀번호
로그인 유지
회원 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인증 메일 재발송
Close Login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