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센터
  • 교육
  • 매뉴얼
  • 데모
  • 제품소개
조회 수 : 1478
2010.06.24 (18:32:00)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신세계i&c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toinb40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데이타셋을 받아와서 어떤 한 컬럼의 값이 Y또는 N으로 받아올때
그 컬럼의 값에 의해 Y이면 그 로우의 색깔을 변경할수 있나요?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3565 no image OnCloseUp 스크립트 동작후 콤보박스 내용이 고정이 안되는 문제 파일
조경민
1466 2010-07-02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삼성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안녕하세요~ 콤보박스의 내용을 변경후 변경된값을 controller로 넘겨서 받아온 값으로 다른 콤보의 내용을 수정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했는데요.. 변경된 콤보의 값이 고정이 되야하는데 고정이 안되서 문의드려요.. 캡쳐파일을 보시면 연계콤보에서 판매를 생산으로 변경후 비율구분의 콤보가 부가가치에서 손익으로 바뀌게 하는건데 생산으로 바꾸면 비율구분콤보는 원하는대로 바뀌지만 연계콤보는 생산으로 고정이 안되고 판매로 그대로 있네요.. 관련된 스크립트를 올려봤습니다. 확인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for=lcomboGubun event=OnCloseUp()> first = false; var strDataID = ""; strDataID = "/servlet/ProdPopMatrixController?cmd=getComboList&rate=" + lcomboGubun.index + "&erMonth=" + lcomboERMonth.text + "&year=" + lcomboYear.text; trProdPopMatrixCombo.KeyName = "toinb_dataid4"; trProdPopMatrixCombo.Action = strDataID; setTimeout("trProdPopMatrixCombo.Post()", 100); </script> <comment id="__NSID__"><object classid="clsid:223216F6-B9FE-406D-9ED6-143FCE3A07B8" id=trProdPopMatrixCombo> <param name="KeyValue" value="JSP(O:dSetYear=dSetYear,O:dSetERMonth=dSetERMonth,O:dSetFMonth=dSetFMonth,O:dSetTMonth=dSetTMonth,O:dSetProd=dSetProd,O:dSetRateGubun=dSetRateGubun,O:dSetUnit=dSetUnit,O:dSetGubun=dSetGubun)"> <param name=StatusResetType value=2> </object></comment><SCRIPT>__ShowEmbedObject(__NSID__);</SCRIPT> <comment id="__NSID__"><object classid="clsid:AF989B7C-8AC3-40BC-B749-EB335BDFD190" id=dSetGubun> <param name="SyncLoad" value="true"> </object></comment><SCRIPT>__ShowEmbedObject(__NSID__);</SCRIPT>
3564 no image OnCloseUp 스크립트 동작후 콤보박스 내용이 고정이 안되는 문제 파일
기술지원40
2177 2010-07-07
OnCloseUp 이벤트에서 TR조회를 하기 때문에 콤보가 닫히는 순간 재조회되면서 데이터셋의 인덱스가 원래대로 돌아오게 되어 있는 것 같네요. OnSelChange나 OnSelChange2 이벤트를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콤보간에 Master-Detail 관계라면 Filter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Filter기능을 사용한 LuxeCombo 샘플을 첨부하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삼성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 >안녕하세요~ > >콤보박스의 내용을 변경후 변경된값을 controller로 넘겨서 받아온 값으로 다른 콤보의 내용을 수정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했는데요.. >변경된 콤보의 값이 고정이 되야하는데 고정이 안되서 문의드려요.. >캡쳐파일을 보시면 연계콤보에서 판매를 생산으로 변경후 비율구분의 콤보가 부가가치에서 손익으로 바뀌게 >하는건데 생산으로 바꾸면 비율구분콤보는 원하는대로 바뀌지만 연계콤보는 생산으로 고정이 안되고 판매로 그대로 있네요.. > >관련된 스크립트를 올려봤습니다. >확인 부탁드릴게요. > >감사합니다~ > ><script language=JavaScript for=lcomboGubun event=OnCloseUp()> > first = false; > > var strDataID = ""; > strDataID = "/servlet/ProdPopMatrixController?cmd=getComboList&rate=" + lcomboGubun.index + "&erMonth=" + lcomboERMonth.text + "&year=" + lcomboYear.text; > trProdPopMatrixCombo.KeyName = "toinb_dataid4"; > trProdPopMatrixCombo.Action = strDataID; > setTimeout("trProdPopMatrixCombo.Post()", 100); ></script> > > ><comment id="__NSID__"><object classid="clsid:223216F6-B9FE-406D-9ED6-143FCE3A07B8" id=trProdPopMatrixCombo> > <param name="KeyValue" value="JSP(O:dSetYear=dSetYear,O:dSetERMonth=dSetERMonth,O:dSetFMonth=dSetFMonth,O:dSetTMonth=dSetTMonth,O:dSetProd=dSetProd,O:dSetRateGubun=dSetRateGubun,O:dSetUnit=dSetUnit,O:dSetGubun=dSetGubun)"> > <param name=StatusResetType value=2> ></object></comment><SCRIPT>__ShowEmbedObject(__NSID__);</SCRIPT> > ><comment id="__NSID__"><object classid="clsid:AF989B7C-8AC3-40BC-B749-EB335BDFD190" id=dSetGubun> > <param name="SyncLoad" value="true"> ></object></comment><SCRIPT>__ShowEmbedObject(__NSID__);</SCRIPT> > > >
3563 no image TR 이후 데이타셋의 RowStatus 문의
이종범
2016 2010-07-02
3562 no image TR 이후 데이타셋의 RowStatus 문의
기술지원40
1527 2010-07-07
문의하신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가이드가 어렵습니다. 재현 샘플을 첨부해주시거나 좀더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트랜잭션 후에 데이터셋의 상태값을 변경하려면 StatusResetType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런데 TR 성공 여부를 왜 DataSet 이벤트인 OnLoadCompleted 이벤트에서 확인하시는 건가요? 특별히 이유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Tr의 경우 OnSuccess, OnFail 이벤트로 트랜잭션의 성공/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이벤트는 단순히 트랜잭션 성공/실패 여부만 확인합니다. 또한 변경된 데이터셋의 값만 서버쪽으로 넘겨집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SEC LCD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MxDataSetU >* DataSet 버전 : 2,0,1,79 >* Tr 버전 : MxLogicalTRU, 2,0,1,49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 >안녕하세요. > >TR을 이용하여 DATASET을 TX 하고 있습니다. > >TX를 <param name="KeyValue" value="JSP(I:di1=ADS,O:ds2=BDS)"> > >이렇게 설정하고 BDS의 ONLOADCOMPLTE 이벤트에서 성공/실패 메세지를 뿌려줍니다. > >그런데, 이때 BDS의 ONLOADCOMPLETE 에서 성공 또는 실패시에 > >성공은 상관없는데, 실패 했을 때도 ADS의 RowStaus가 NORMAL이 됩니다. > >BDS의 ONLOADCOMPLETE 이벤트까지는 RowStatus를 INSERT, UPDATE로 제대로 찍어주는ㄷ네 > >BDS ONLOADCOMPLETE 이벤트를 빠져나가면 ADS의 RowStatus를 NORMAL로 바꿉니다. > >이를 방지하거나 우회하고자 하는데(실패시에는 ADS의 RowStatus를 이전꺼로 유지.) > >좋은 방법이 있을까 하고 문의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3561 no image 그리드 소수점 입력 문의 입니다.
박홍남
1420 2010-06-30
3560 no image 그리드 소수점 입력 문의 입니다.
기술지원40
2377 2010-07-07
문의해주신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가이드가 어렵습니다. 그리드는 단순히 데이터셋에 담긴 값을 장표 형태로 표현해주는 UI컴포넌트입니다. 그리드 컬럼 속성인 dec를 적용해준다해도 실제 데이터셋에 값은 컬럼 타입과 사이즈에 따라 담겨집니다. 그리드의 Dec속성은 단순히 그리드 상에서 소수점 자리수를 지정된 수만큼 보여지게 하는 역할만 합니다. 따라서 그리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실제 데이터셋에 데이터가 담기는 부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소수점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셋의 헤더 타입을 Decimal로 지정하고 컬럼 사이즈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미지정시 gauce.properties 또는 gauce.xml 에 기본 설정된 값을 따릅니다.) 또한 소수점이 입력되지 않는다고 한 내용으로 보아 데이터셋의 컬럼타입과 사이즈가 잘못 지정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DataSet의 DataHeader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셋의 헤더 타입과 사이즈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1.2.1.75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 >그리드의 속성을 아래와 같이 작성했습니다. ><c> id=AAAA name="AAAA" width=57 align=right dec=2 Edit=RealNumeric </c> >기본 적으로 XX.00으로 출력은 되지만 > >was에서 넘긴값에 반올림을 해서 출력하는 문제와 >소수점이 입력이 되지않는 문제가 있어 문의 드립니다. > > > > >
3559 no image ActiveUpdate 4.0 으로 설치시
차정일
2372 2010-06-28
3558 no image ActiveUpdate 4.0 으로 설치시
기술지원40
3346 2010-07-07
Manager에서는 컴포넌트 삭제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예외적으로 Report와 XChart 컴포넌트의 경우 RemoveReport 옵션과 Remove 옵션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의하신 내용으로 보아 위 2개 컴포넌트 외에 다른 컴포넌트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옵션이 없습니다. 컴포넌트 버전 체크 및 설치 여부는 Manager내부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단순히 컴포넌트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용도라면 굳이 별도로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일반적인 경우) 그러나 별도로 버전 체크나 설치 여부 확인을 꼭 구현하셔야 하는 경우라면 문의하신 내용처럼 무한루프에 빠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굳이 삭제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MxUpdate 기능을 사용하셔야 합니다.(미권장)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주택공급 통계 정보 시스템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ManagerEx4.cab version=4,0,0,5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해당 컴포넌트를 코드베이스를 이용 하여 설치하고 au4 설치 화면에서 > >설치후 콤포넌트 버전체크를 시도 하도록 만들어 둔 시스템이 있습니다. 버전체크는 메뉴얼에 있는부분을 > >활용하였습니다. 설치 >버전체크 과정인대..큰오점이 있습니다.버전체크하여 버전이 일치하지 않으면 설치화면을 > >호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미일치의경우 무한..으로 접속하게 됩니다. 그래서 미일치시 AU4 를 이용해 컴포 > >넌트를 삭제 할수 있는 페이지를 호출했으면 하는대 MxIpdate 를 이용해 삭제하는 방법은 있으나..Manager를 이용 > >해 삭제 하는 방법은 업는건지..궁금합니다. >
3557 no image 그리드 속성에서 decode 를 써 컬럼명을 바꾸고자 할때 decode가 컬럼명으로 나오는문제 파일
조경민
1785 2010-06-25
3556 no image 그리드 속성에서 decode 를 써 컬럼명을 바꾸고자 할때 decode가 컬럼명으로 나오는문제
기술지원40
1514 2010-06-25
조회 조건에 따라 컬럼명만 decode로 적용한다고 하셨는데, 좀 특이한 케이스네요. name(title)속성은 컬럼명이라기보다는 그리드의 타이틀에 보여지는 텍스트를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데이터는 같은데 타이틀명만 바뀌는 건가요? 조회 조건에 따라 Format을 동적으로 변경하시는 방법을 쓰시는게 낫지 않을까요? 그리드의 Redraw 속성을 사용해서 테스트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OnSort이벤트에서 redraw를 false로 지정해서 그리드를 다시 그리지 않게 해주고 조회조건이 변경되면 redraw를 다시 true로 풀어주면 될 것 같기도 합니다만... 실제 소스상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봐야할 것 같습니다. 질문하신 내용만으로는 정확히 가이드가 어렵습니다. 기술지원팀으로 연락주셔서 지원을 받으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삼성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 >안녕하세요~ > >그리드의 컬럼명을 조회조건이 달라지는것에 따라 바뀔수 있도록 >name="{decode(RATE,"1","부가가치율(%)","2","손익율(%)","3","한계이익율(%)","부가가치율(%)")}" > >위와같이 작성했는데요, 조회했을때 컬럼명은 제대로 바뀌는데 >sorting을 위해서 컬럼명을 눌렀을때 decode 코드내용이 그대로 컬럼명에 보이네요.. >안보이게 하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Selected no image 어떤 한 컬럼의 데이타 값에 의해 row별로 색깔을 변경
신상호
1478 2010-06-24
3554 no image 어떤 한 컬럼의 데이타 값에 의해 row별로 색깔을 변경
기술지원40
2397 2010-06-25
3553 no image 소수점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GSCP
1994 2010-06-23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MC GSCP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3.5 * DataSet 버전 : 1,1,1,51 * Tr 버전 : 1,1,1,49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요청 * 내용 : 안녕하세요 LG전자 MC GSCP의 SM 김용석입니다. 현업에서 소수점으로된 값이 나타나지 않는다고하여 해당 것을 살펴보던중 제 힘으로는 도저히 되지 않아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WAS : WebLogic 을 사용하고 있으며 Laf/J 프레임웍을 쓰고 있습니다. gauce35.jar 에서 제공하고있는 AP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라클에서 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값이 0.3인값이 그리드에 나타날때 0으로 나타납니다. Grid의 dec=2값도 바꿔보고 decao=2로 해서 값도 바꿔보았으나 계속 0.00으로만 나타납니다. 그래서 DataSet의 값을 확인해보니 DataSet에도 값이 0으로 들어가있더군요 그래서 Dataset의 OnLoadCompleted 에 아래와 같이 값을 찍어보니 alert('ColumnSize(29):'+this.ColumnSize(29)); ==> 22 alert('ColumnDec(29):'+this.ColumnDec(29)); ==> 0 이 나옵니다. WAS단에서 값을 보니 0.3으로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래는 java 소스입니다. // 해당 BFC 객체를 생성해서 호출 Pla0010RetrieveSalesPsiBFC bfc = new Pla0010RetrieveSalesPsiBFC(reqData); DefaultBD bd = new DefaultBD(); LMultiData result = (LMultiData)bd.processNoTxn(bfc); //여기서 값을 찍어보면 int i = 0; for(i =0;i<result.keySize();i++) { LData tmpLData = new LData(); tmpLData = result.getLData(i); String[] tmpkey = new String[tmpLData.size()]; tmpkey = (String[])tmpLData.keySet().toArray(tmpkey); for(int j=0;j<tmpkey.length;j++) { System.out.println(j+"==> key: "+tmpkey[j]+" |||value: "+ tmpLData.getString(tmpkey[j])); } } // 조회결과(LMultiData 타입)를 GauceDataSet형태로 변환한다. GauceDataSet rsGds = new GauceDataSet(); gauceRes.enableFirstRow(rsGds); LGauceConverter.extractToGauceDataSet(result, rsGds); rsGds.flush(); } 소스는 위와 같고 중간에 for로 값을 찍어본 결과는 0==> key: LDATA_TO_GDC LData[null]={chk=12|1|0, planId=2|22|0, seq=2|22|0, teamLevel=12|50|0, buyerLevel=12|50|0, product=12|50|0, series=12|50|0, itemId=2|22|0, itemName=12|60|0, siteName=12|40|0, siteNameDm=12|40|0, category=12|40|0, categoryLabel=12|40|0, graphLabel=12|101|0, monthCalcuFlag=12|1|0, fixFlag=12|80|0, planYn=2|22|0, sortNum=2|22|0, w17b;20100501 *=2|22|0, w18;20100503 *=2|22|0, w19;20100510 *=2|22|0, w20;20100517 *=2|22|0, w21;20100524 *=2|22|0, w22a;20100531 *=2|22|0, 201005 *=2|22|0, w22b;20100601 *=2|22|0, w23;20100607 *=2|22|0, 201006 *=2|22|0, w24;20100614=2|22|0, w25;20100621=2|22|0, w26a;20100628=2|22|0, 201006=2|22|0, 201006 * + 201006=2|22|0, w26b;20100701=2|22|0, w27;20100705=2|22|0, w28;20100712=2|22|0, w29;20100719=2|22|0, w30a;20100726=2|22|0, 201007=2|22|0, w30b;20100801=2|22|0, w31;20100802=2|22|0, w32;20100809=2|22|0, w33;20100816=2|22|0, w34;20100823=2|22|0, w35a;20100830=2|22|0, 201008=2|22|0, w35b;20100901=2|22|0, w36;20100906=2|22|0, w37;20100913=2|22|0, w38;20100920=2|22|0, w39a;20100927=2|22|0, 201009=2|22|0, w39b;20101001=2|22|0, w40;20101004=2|22|0, w41;20101011=2|22|0, w42;20101018=2|22|0, w43;20101025=2|22|0, 201010=2|22|0, w44;20101101=2|22|0, w45;20101108=2|22|0, w46;20101115=2|22|0, w47;20101122=2|22|0, w48a;20101129=2|22|0, 201011=2|22|0, w48b;20101201=2|22|0, w49;20101206=2|22|0, 201012=2|22|0} 1==> key: OBJECT_TO_GDRs LMultiData[ResultSet]={chk=[T, T, F, F], planId=[0, 0, 244, 244], seq=[0, 0, 7, 7], teamLevel=[ , , KOREA, KOREA], buyerLevel=[ , , KTF, KTF], product=[ , , GSM(3G), GSM(3G)], series=[ , , THOMAS GSM(3G), THOMAS GSM(3G)], itemId=[0, 0, 78593, 78593], itemName=[TOTAL :, TOTAL :, LGKH3100.AKTFBK, LGKH3100.AKTFBK], siteName=[ , , EKHQ_S, EKHQ_S], siteNameDm=[ , , KTF@EKHQ_S, KTF@EKHQ_S], category=[SALES-05-SAFETYSTOCK, SALES-05-SAFETYSTOCK-WEEK, SALES-05-SAFETYSTOCK, SALES-05-SAFETYSTOCK-WEEK], categoryLabel=[Target S/Stock, Target S/Stock(Week), Target S/Stock, Target S/Stock(Week)], graphLabel=[TOTAL : Target S/Stock, TOTAL : Target S/Stock(Week), LGKH3100.AKTFBK Target S/Stock, LGKH3100.AKTFBK Target S/Stock(Week)], monthCalcuFlag=[L, L, L, L], fixFlag=[N, N, N, N], planYn=[2, 2, 2, 2], sortNum=[1, 2, 3, 4], w17b;20100501 *=[0.0, 0.0, 0.0, 0.0], w18;20100503 *=[0.0, 0.0, 0.0, 0.0], w19;20100510 *=[0.0, 0.0, 0.0, 0.0], w20;20100517 *=[0.0, 0.0, 0.0, 0.0], w21;20100524 *=[0.0, 0.0, 0.0, 0.0], w22a;20100531 *=[0.0, 0.0, 0.0, 0.0], 201005 *=[0.0, 0.0, 0.0, 0.0], w22b;20100601 *=[0.0, 0.0, 0.0, 0.0], w23;20100607 *=[0.0, 0.0, 0.0, 0.0], 201006 *=[0.0, 0.0, 0.0, 0.0], w24;20100614=[1080.0, 0.3, 1080.0, 0.3], w25;20100621=[0.0, 0.3, 0.0, 0.3], w26a;20100628=[0.0, 0.3, 0.0, 0.3], 201006=[0.0, 0.3, 0.0, 0.3], 201006 * + 201006=[0.0, 0.3, 0.0, 0.3], w26b;20100701=[0.0, 0.3, 0.0, 0.3], w27;20100705=[0.0, 0.3, 0.0, 0.3], w28;20100712=[0.0, 0.3, 0.0, 0.3], w29;20100719=[0.0, 0.3, 0.0, 0.3], w30a;20100726=[0.0, 0.3, 0.0, 0.3], 201007=[0.0, 0.3, 0.0, 0.3], w30b;20100801=[0.0, 0.3, 0.0, 0.3], w31;20100802=[0.0, 0.3, 0.0, 0.3], w32;20100809=[0.0, 0.3, 0.0, 0.3], w33;20100816=[0.0, 0.3, 0.0, 0.3], w34;20100823=[0.0, 0.3, 0.0, 0.3], w35a;20100830=[0.0, 0.3, 0.0, 0.3], 201008=[0.0, 0.3, 0.0, 0.3], w35b;20100901=[0.0, 0.3, 0.0, 0.3], w36;20100906=[0.0, 0.3, 0.0, 0.3], w37;20100913=[0.0, 0.3, 0.0, 0.3], w38;20100920=[0.0, 0.3, 0.0, 0.3], w39a;20100927=[0.0, 0.3, 0.0, 0.3], 201009=[0.0, 0.3, 0.0, 0.3], w39b;20101001=[0.0, 0.3, 0.0, 0.3], w40;20101004=[0.0, 0.3, 0.0, 0.3], w41;20101011=[0.0, 0.3, 0.0, 0.3], w42;20101018=[0.0, 0.3, 0.0, 0.3], w43;20101025=[0.0, 0.3, 0.0, 0.3], 201010=[0.0, 0.3, 0.0, 0.3], w44;20101101=[0.0, 0.3, 0.0, 0.3], w45;20101108=[0.0, 0.3, 0.0, 0.3], w46;20101115=[0.0, 0.3, 0.0, 0.3], w47;20101122=[0.0, 0.3, 0.0, 0.3], w48a;20101129=[0.0, 0.3, 0.0, 0.3], 201011=[0.0, 0.3, 0.0, 0.3], w48b;20101201=[0.0, 0.3, 0.0, 0.3], w49;20101206=[0.0, 0.3, 0.0, 0.3], 201012=[0.0, 0.3, 0.0, 0.3]} r 입니다... 핸드폰번호 011-675-3782 입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
3552 no image 소수점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기술지원40
1500 2010-06-25
그리드는 단순히 데이터셋에 담긴 값을 장표 형태로 표현해주는 UI컴포넌트입니다. 따라서 그리드 컬럼 속성인 dec를 적용해준다해도 실제 데이터셋에 값이 0으로 담겨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드의 Dec속성은 단순히 그리드 상에서 소수점 자리수를 지정된 수만큼 보여지게 하는 역할만 합니다. 따라서 그리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실제 데이터셋에 데이터가 담기는 부분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소수점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셋의 헤더 타입을 Decimal로 지정하고 컬럼 사이즈를 지정해주셔야 합니다. (미지정시 gauce.properties 에 기본 설정된 값을 따릅니다.) 문의해주신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가이드가 어렵습니다. laf/J 등 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셋의 헤더 생성시 사이즈 지정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Max컴포넌트(1,2,X.X)셋의 경우 데이터셋의 DataHeader속성을 사용하면 화면단에서도 데이터셋의 헤더를 확인할 수 있지만, 현재 문의하신 분의 경우 NP버전셋을 사용하고 계시므로 해당 속성을 지원하지 않아 화면단 쪽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없을 것 같네요. 일단 프레임워크는 저희 제품이 아니라서 직접적인 가이드는 어려울 듯 합니다. 프레임워크 쪽에 문의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MC GSCP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3.5 >* DataSet 버전 : 1,1,1,51 >* Tr 버전 : 1,1,1,49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요청 >* 내용 : >안녕하세요 LG전자 MC GSCP의 SM 김용석입니다. >현업에서 소수점으로된 값이 나타나지 않는다고하여 해당 것을 살펴보던중 >제 힘으로는 도저히 되지 않아 이렇게 도움을 요청합니다. > >WAS : WebLogic 을 사용하고 있으며 Laf/J 프레임웍을 쓰고 있습니다. >gauce35.jar 에서 제공하고있는 AP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오라클에서 쿼리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값이 0.3인값이 그리드에 >나타날때 0으로 나타납니다. >Grid의 dec=2값도 바꿔보고 decao=2로 해서 값도 바꿔보았으나 >계속 0.00으로만 나타납니다. > >그래서 DataSet의 값을 확인해보니 >DataSet에도 값이 0으로 들어가있더군요 >그래서 Dataset의 OnLoadCompleted 에 아래와 같이 값을 찍어보니 > >alert('ColumnSize(29):'+this.ColumnSize(29)); ==> 22 >alert('ColumnDec(29):'+this.ColumnDec(29)); ==> 0 > >이 나옵니다. > >WAS단에서 값을 보니 0.3으로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래는 java 소스입니다. > > > > // 해당 BFC 객체를 생성해서 호출 > Pla0010RetrieveSalesPsiBFC bfc = new Pla0010RetrieveSalesPsiBFC(reqData); > DefaultBD bd = new DefaultBD(); > > LMultiData result = (LMultiData)bd.processNoTxn(bfc); > > //여기서 값을 찍어보면 > int i = 0; > for(i =0;i<result.keySize();i++) { > LData tmpLData = new LData(); > tmpLData = result.getLData(i); > String[] tmpkey = new String[tmpLData.size()]; > tmpkey = (String[])tmpLData.keySet().toArray(tmpkey); > for(int j=0;j<tmpkey.length;j++) { > System.out.println(j+"==> key: "+tmpkey[j]+" |||value: "+ tmpLData.getString(tmpkey[j])); > } > } > // 조회결과(LMultiData 타입)를 GauceDataSet형태로 변환한다. > GauceDataSet rsGds = new GauceDataSet(); > > gauceRes.enableFirstRow(rsGds); > > LGauceConverter.extractToGauceDataSet(result, rsGds); > rsGds.flush(); > } > > > >소스는 위와 같고 중간에 for로 값을 찍어본 결과는 > > >0==> key: LDATA_TO_GDC LData[null]={chk=12|1|0, planId=2|22|0, seq=2|22|0, teamLevel=12|50|0, buyerLevel=12|50|0, product=12|50|0, series=12|50|0, itemId=2|22|0, itemName=12|60|0, siteName=12|40|0, siteNameDm=12|40|0, category=12|40|0, categoryLabel=12|40|0, graphLabel=12|101|0, monthCalcuFlag=12|1|0, fixFlag=12|80|0, planYn=2|22|0, sortNum=2|22|0, w17b;20100501 *=2|22|0, w18;20100503 *=2|22|0, w19;20100510 *=2|22|0, w20;20100517 *=2|22|0, w21;20100524 *=2|22|0, w22a;20100531 *=2|22|0, 201005 *=2|22|0, w22b;20100601 *=2|22|0, w23;20100607 *=2|22|0, 201006 *=2|22|0, w24;20100614=2|22|0, w25;20100621=2|22|0, w26a;20100628=2|22|0, 201006=2|22|0, 201006 * + 201006=2|22|0, w26b;20100701=2|22|0, w27;20100705=2|22|0, w28;20100712=2|22|0, w29;20100719=2|22|0, w30a;20100726=2|22|0, 201007=2|22|0, w30b;20100801=2|22|0, w31;20100802=2|22|0, w32;20100809=2|22|0, w33;20100816=2|22|0, w34;20100823=2|22|0, w35a;20100830=2|22|0, 201008=2|22|0, w35b;20100901=2|22|0, w36;20100906=2|22|0, w37;20100913=2|22|0, w38;20100920=2|22|0, w39a;20100927=2|22|0, 201009=2|22|0, w39b;20101001=2|22|0, w40;20101004=2|22|0, w41;20101011=2|22|0, w42;20101018=2|22|0, w43;20101025=2|22|0, 201010=2|22|0, w44;20101101=2|22|0, w45;20101108=2|22|0, w46;20101115=2|22|0, w47;20101122=2|22|0, w48a;20101129=2|22|0, 201011=2|22|0, w48b;20101201=2|22|0, w49;20101206=2|22|0, 201012=2|22|0} >1==> key: OBJECT_TO_GDRs LMultiData[ResultSet]={chk=[T, T, F, F], planId=[0, 0, 244, 244], seq=[0, 0, 7, 7], teamLevel=[ , , KOREA, KOREA], buyerLevel=[ , , KTF, KTF], product=[ , , GSM(3G), GSM(3G)], series=[ , , THOMAS GSM(3G), THOMAS GSM(3G)], itemId=[0, 0, 78593, 78593], itemName=[TOTAL :, TOTAL :, LGKH3100.AKTFBK, LGKH3100.AKTFBK], siteName=[ , , EKHQ_S, EKHQ_S], siteNameDm=[ , , KTF@EKHQ_S, KTF@EKHQ_S], category=[SALES-05-SAFETYSTOCK, SALES-05-SAFETYSTOCK-WEEK, SALES-05-SAFETYSTOCK, SALES-05-SAFETYSTOCK-WEEK], categoryLabel=[Target S/Stock, Target S/Stock(Week), Target S/Stock, Target S/Stock(Week)], graphLabel=[TOTAL : Target S/Stock, TOTAL : Target S/Stock(Week), LGKH3100.AKTFBK Target S/Stock, LGKH3100.AKTFBK Target S/Stock(Week)], monthCalcuFlag=[L, L, L, L], fixFlag=[N, N, N, N], planYn=[2, 2, 2, 2], sortNum=[1, 2, 3, 4], w17b;20100501 *=[0.0, 0.0, 0.0, 0.0], w18;20100503 *=[0.0, 0.0, 0.0, 0.0], w19;20100510 *=[0.0, 0.0, 0.0, 0.0], w20;20100517 *=[0.0, 0.0, 0.0, 0.0], w21;20100524 *=[0.0, 0.0, 0.0, 0.0], w22a;20100531 *=[0.0, 0.0, 0.0, 0.0], 201005 *=[0.0, 0.0, 0.0, 0.0], w22b;20100601 *=[0.0, 0.0, 0.0, 0.0], w23;20100607 *=[0.0, 0.0, 0.0, 0.0], 201006 *=[0.0, 0.0, 0.0, 0.0], w24;20100614=[1080.0, 0.3, 1080.0, 0.3], w25;20100621=[0.0, 0.3, 0.0, 0.3], w26a;20100628=[0.0, 0.3, 0.0, 0.3], 201006=[0.0, 0.3, 0.0, 0.3], 201006 * + 201006=[0.0, 0.3, 0.0, 0.3], w26b;20100701=[0.0, 0.3, 0.0, 0.3], w27;20100705=[0.0, 0.3, 0.0, 0.3], w28;20100712=[0.0, 0.3, 0.0, 0.3], w29;20100719=[0.0, 0.3, 0.0, 0.3], w30a;20100726=[0.0, 0.3, 0.0, 0.3], 201007=[0.0, 0.3, 0.0, 0.3], w30b;20100801=[0.0, 0.3, 0.0, 0.3], w31;20100802=[0.0, 0.3, 0.0, 0.3], w32;20100809=[0.0, 0.3, 0.0, 0.3], w33;20100816=[0.0, 0.3, 0.0, 0.3], w34;20100823=[0.0, 0.3, 0.0, 0.3], w35a;20100830=[0.0, 0.3, 0.0, 0.3], 201008=[0.0, 0.3, 0.0, 0.3], w35b;20100901=[0.0, 0.3, 0.0, 0.3], w36;20100906=[0.0, 0.3, 0.0, 0.3], w37;20100913=[0.0, 0.3, 0.0, 0.3], w38;20100920=[0.0, 0.3, 0.0, 0.3], w39a;20100927=[0.0, 0.3, 0.0, 0.3], 201009=[0.0, 0.3, 0.0, 0.3], w39b;20101001=[0.0, 0.3, 0.0, 0.3], w40;20101004=[0.0, 0.3, 0.0, 0.3], w41;20101011=[0.0, 0.3, 0.0, 0.3], w42;20101018=[0.0, 0.3, 0.0, 0.3], w43;20101025=[0.0, 0.3, 0.0, 0.3], 201010=[0.0, 0.3, 0.0, 0.3], w44;20101101=[0.0, 0.3, 0.0, 0.3], w45;20101108=[0.0, 0.3, 0.0, 0.3], w46;20101115=[0.0, 0.3, 0.0, 0.3], w47;20101122=[0.0, 0.3, 0.0, 0.3], w48a;20101129=[0.0, 0.3, 0.0, 0.3], 201011=[0.0, 0.3, 0.0, 0.3], w48b;20101201=[0.0, 0.3, 0.0, 0.3], w49;20101206=[0.0, 0.3, 0.0, 0.3], 201012=[0.0, 0.3, 0.0, 0.3]} >r > > > >입니다... > >핸드폰번호 011-675-3782 입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려요 ㅠㅠ
3551 no image bin 수신 데이타 에러
황태욱
1471 2010-06-23
3550 no image bin 수신 데이타 에러
기술지원40
1877 2010-06-25
3549 no image 그리드 글꼴 관련 문의
김화영
1389 2010-06-22
3548 no image 그리드 글꼴 관련 문의 파일
기술지원40
1614 2010-06-24
다국어 표현을 위해서는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MAX FAQ게시판에서 unicode로 검색하시면 유니코드로 개발시 관련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아랍어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align을 right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다른 언어와 혼용되어 특정값만 아랍어로 되어 있다면 별도로 아랍어 여부를 체크하는 컬럼을 생성하여 align을 decode나 if로 적용해주셔야 할 듯 합니다. 예) align={decode(Check, 'Y', 'right', 'N', 'left'} 첨부된 샘플을 참고하세요.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GRID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Grid상에 여러개 국어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 그중에 아랍어가 있는데요. > 제가 알기로는 아랍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여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데이터를 Grid상서 조회를 하게 되면 다른 언어와 동일하게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 표기가 되고 있습니다. > 해당 Grid 내용을 Excel 파일로 받아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우측에서 시작하여 좌측에서 > 끝나도록 되어있습니다. > > Grid 상에 아랍어 표기가 가능한지요?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표시) >
3547 no image [지급] 그리드 글꼴 관련 문의
김화영
1490 2010-06-25
1. 지금 사용하는 컴포넌트가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인거 확인했구. 가이드를 보고 align을 right로 했는데요. 글자는 right 정렬이 되는데. 아랍어 글자 시작이 우측부터 되어야 하는데. 그냥 아랍어 아니 다른 언어들이 우측 정렬된것 처럼 나옵니다. 2. 가이드를 보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올립니다. 서버와의 유니코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Mx Unicode Component BASIC Set에서 서버와의 유니코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가우스 뉴패킷 프로토콜중 바이너리 포맷 (gauce.properties의 protocol.default.request=2, protocol.default.response=2)만 지원된다. (CSV, CSV30은 현재 지원되지 않음) 이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어떻게 처리를 해야될지 ... 지급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다국어 표현을 위해서는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MAX FAQ게시판에서 unicode로 검색하시면 유니코드로 개발시 관련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랍어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align을 right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다른 언어와 혼용되어 특정값만 아랍어로 되어 있다면 별도로 아랍어 여부를 체크하는 컬럼을 생성하여 align을 decode나 if로 적용해주셔야 할 듯 합니다. >예) align={decode(Check, 'Y', 'right', 'N', 'left'} > >첨부된 샘플을 참고하세요. > >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GRID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Grid상에 여러개 국어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 그중에 아랍어가 있는데요. >> 제가 알기로는 아랍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여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데이터를 Grid상서 조회를 하게 되면 다른 언어와 동일하게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 표기가 되고 있습니다. >> 해당 Grid 내용을 Excel 파일로 받아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우측에서 시작하여 좌측에서 >> 끝나도록 되어있습니다. >> >> Grid 상에 아랍어 표기가 가능한지요?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표시) >> >
3546 no image [지급] 그리드 글꼴 관련 문의
기술지원40
1532 2010-06-25
1. 질문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아랍어를 몰라서^^ 샘플에 임의로 데이터를 넣어서 첨부해드렸었는데, 단순 정렬을 의미하는게 아닌 것 같네요. 샘플을 첨부해주시거나 캡쳐화면 등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글자 시작이 우측부터 된다는 건... '가나다'가 아니라 '다나가'로 나와야 된다는 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 부분은 컴포넌트 쪽에서 해결할 문제가 아닌 듯 합니다. 저희 제품은 실제 데이터를 단순히 컨버팅해서 데이터셋에 담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문자열이 역순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면 실제 데이터가 역순으로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컬럼속성은 컬럼 전체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값에 따라 컬럼속성을 지정하려면 decode나 if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2. 참고하신 유니코드 가이드가 GAUCE 3.5 for Unicode 버전이 릴리즈 되었을 때 정리된 내용이고 기술문서이다보니 간혹 명확하지 않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먼저 설정 파일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gauce.properties는 GAUCE 3.5 서버의 설정 파일입니다. 가우스 설정 파일(gauce.properties)에서 프로토콜을 지정하게 되어 있었는데, CSV, CSV30 프로토콜은 가우스 서버에서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라는 의미입니다. 원래 GAUCE 3.X 서버군은 유니코드 환경을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니코드용 서버 모듈이 별도로 있으며, GAUCE 3.5 for Unicode 버전은 현재 정식 배포되고 있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auce 4.0 이상에서는 바이너리 프로토콜만 지원 가능하기 때문에 설정 파일(gauce.xml)에서 프로토콜 지정 부분이 삭제되고 인코딩만 지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InnoXync 서버의 경우 기본적으로 바이너리를 지원하고 추가적으로 XML과 JSON프로토콜이 지원되며, 설정파일인 innoxync-default.xml에 protocols="BIN,XML,JSON"이라는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 다음 내용은 유니코드 개발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만 간단히 정리한 것입니다. 유니코드 환경은 기본적으로 서버의 경우 Gauce for Java 4.0 버전 이상, 클라이언트는 Max Unicode 컴포넌트셋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유니코드 데이터를 컴포넌트에서 받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바이너리로 내려와야 하기 때문에 서버쪽 설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유니코드용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DB와 WAS 인코딩 설정방법은 해당 제품의 가이드를 참고하시고... - Gauce 서버 인코딩 설정방법은 Gauce 4.0 의 경우 gauce.xml 에서 <charset default="utf-8" get="utf-8" post="utf-8"/> 으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클라이언트 사이드인 컴포넌트 역시 유니코드용 컴포넌트셋(UMX)을 사용해야 합니다. - 당연히 서버 서비스 및 화면 서비스 인코딩도 유니코드여야 합니다. 결국 문서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유니코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서버 사이드의 인코딩을 유니코드로 지정해야 하며, 바이너리 프로토콜만 지원 가능하다. 또한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을 사용해야 한다." 라는 내용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1. 지금 사용하는 컴포넌트가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인거 확인했구. > 가이드를 보고 align을 right로 했는데요. > 글자는 right 정렬이 되는데. 아랍어 글자 시작이 우측부터 되어야 하는데. > 그냥 아랍어 아니 다른 언어들이 우측 정렬된것 처럼 나옵니다. > >2. 가이드를 보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올립니다. > 서버와의 유니코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Mx Unicode Component BASIC Set에서 > 서버와의 유니코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가우스 뉴패킷 프로토콜중 바이너리 포맷 > (gauce.properties의 protocol.default.request=2, protocol.default.response=2)만 지원된다. > (CSV, CSV30은 현재 지원되지 않음) > 이말의 뜻은 무엇인가요? > >어떻게 처리를 해야될지 ... >지급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다국어 표현을 위해서는 유니코드 컴포넌트 셋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MAX FAQ게시판에서 unicode로 검색하시면 유니코드로 개발시 관련 가이드 문서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아랍어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 표기되기 때문에 align을 right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다른 언어와 혼용되어 특정값만 아랍어로 되어 있다면 별도로 아랍어 여부를 체크하는 컬럼을 생성하여 align을 decode나 if로 적용해주셔야 할 듯 합니다. >>예) align={decode(Check, 'Y', 'right', 'N', 'left'} >> >>첨부된 샘플을 참고하세요. >> >>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 >>>* 고객시스템명 : LG전자 >>>* 문의할 Component명 및 버전 : GRID >>>* DataSet 버전 : >>>* Tr 버전 :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Grid상에 여러개 국어의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 그중에 아랍어가 있는데요. >>> 제가 알기로는 아랍어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쓰여지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데이터를 Grid상서 조회를 하게 되면 다른 언어와 동일하게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 표기가 되고 있습니다. >>> 해당 Grid 내용을 Excel 파일로 받아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우측에서 시작하여 좌측에서 >>> 끝나도록 되어있습니다. >>> >>> Grid 상에 아랍어 표기가 가능한지요? (오른쪽에서 좌측으로 표시) >>> >> >
Tag List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