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객센터
  • 교육
  • 매뉴얼
  • 데모
  • 제품소개
조회 수 : 4895
2014.11.11 (11:31:00)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필수입력사항**

* 고객(업체)명 : 푸르덴셜
* 제품 버전 :  4.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 내용 :

   오라클 varchar(4000) 컬럼의 데이터를 조회하면 그리드에서 짤림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리드에 데이터 바인딩할때 컬럼사이즈만큼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어느부분을 확인하면 되나요?

    

2014.11.14 (16:14:05)
shift

아래 사항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컬럼 size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Dataset의 columnsize 메소드를 사용하여 4000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http://member.shift.co.kr/ComponentManual/AMX/Basic/DataSet/Method/ColumnSize/ColumnSize.htm

 

2. Ansi 데이터를 사용 중일때는 한글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MxDataset, ToinbDataset 컴포넌트 사용 중이실 경우 한글처리는 2byte로 설정되므로

   실제 컬럼 사이즈의 *2 (8000)로 설정되어야 정상적인 출력이 가능합니다.

 - 이 경우 dataset의 컬럼 사이즈 제약에 위배될 수 있으므로 LOB 처리를 권장합니다.

http://member.shift.co.kr/ComponentManual/AMX/Basic/DataSet/DataSet.htm

 

감사합니다.

(*.234.186.58)
번호 제목 닉네임 조회 등록일
7269 no image MGrid.GridToExcel 옵션 문의 [4]
이삭이아빠
4651 2014-11-19
7268 no image 엑셀 데이터 로드 문의 [5]
이삭이아빠
4580 2014-11-19
7267 no image 가우스4 설치 문의 [1]
ksh
4265 2014-11-18
7266 no image MGrid Tree 형태의 그리드 필터링 혹은 검색 결과 표현 [2]
이삭이아빠
5113 2014-11-17
7265 no image 가우스 그리드 버튼 추가 [1]
얄리얄릴얄랴횽
4501 2014-11-17
7264 no image [getMetaData] MetaData 가져올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1]
정창연
5973 2014-11-14
* 고객(업체)명 : 글로비스 * 제품 버전 : JAVA 5.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질문 * 내용 : Oracle DB Link 가 포함된 조회 SQL 을 실행한 후 ResultSet 을 GauceDataSet 에 옮겨 담을때 오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getMetaData(); 를 실행하여 해당 정보에 따라 데이터 셋에 담는 중에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참고로 데이터셋 헤더를 사전에 정의를 해 놓으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옮겨 담을때 오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원인 및 해결 방안을 가이드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E181651 java.net.SocketException: Connection reset by peer: socket write error at java.net.SocketOutputStream.socketWrite0(Native Method) at java.net.SocketOutputStream.socketWrite(SocketOutputStream.java:92) at java.net.SocketOutputStream.write(SocketOutputStream.java:136) at weblogic.utils.io.ChunkedOutputStream.writeTo(ChunkedOutputStream.java:284)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OutputStreamImpl.writeHeader(ServletOutputStreamImpl.java:167) at weblogic.servlet.internal.ResponseHeaders.writeHeaders(ResponseHeaders.java:444)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sponseImpl.writeHeaders(ServletResponseImpl.java:1288)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OutputStreamImpl.sendHeaders(ServletOutputStreamImpl.java:281)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OutputStreamImpl.flush(ServletOutputStreamImpl.java:118) at com.gauce.io.bin.G.flush(Unknown Source) at com.hist.haf.db.gauce.GauceDataBaseUtil.moveToGauceDataSet(GauceDataBaseUtil.java:391) at cmn.cmnQuery.selectResultSet(cmnQuery.java:82) at P.RSUM.control.PRSUM_BIZ.Set_OutSourcing_Operation_Search(PRSUM_BIZ.java:9355) at P.RSUM.proxy.PRSUM_pxy.Set_OutSourcing_Operation_Search(PRSUM_pxy.java:1339) at P.RSUM.service.PRSUM_cmd.execute(PRSUM_cmd.java:379) at P.RSUM.service.PRSUM_svl.catchService(PRSUM_svl.java:83) at com.servlet.DGauceServlet.doPost(DGauceServlet.java:75) at javax.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727) at javax.servlet.http.HttpServlet.service(HttpServlet.java:820) at weblogic.servlet.internal.StubSecurityHelper$ServletServiceAction.run(StubSecurityHelper.java:227) at weblogic.servlet.internal.StubSecurityHelper.invokeServlet(StubSecurityHelper.java:125)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StubImpl.execute(ServletStubImpl.java:301) at weblogic.servlet.internal.TailFilter.doFilter(TailFilter.java:26) at weblogic.servlet.internal.FilterChainImpl.doFilter(FilterChainImpl.java:56) at com.gauce.filter.GauceFilter.doFilter(Unknown Source) at weblogic.servlet.internal.FilterChainImpl.doFilter(FilterChainImpl.java:56)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ServletInvocationAction.wrapRun(WebAppServletContext.java:3730)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ServletInvocationAction.run(WebAppServletContext.java:3696) at weblogic.security.acl.internal.AuthenticatedSubject.doAs(AuthenticatedSubject.java:321) at weblogic.security.service.SecurityManager.runAs(SecurityManager.java:120)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securedExecute(WebAppServletContext.java:2273) at weblogic.servlet.internal.WebAppServletContext.execute(WebAppServletContext.java:2179) at weblogic.servlet.internal.ServletRequestImpl.run(ServletRequestImpl.java:1490) at weblogic.work.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256) at weblogic.work.ExecuteThread.run(ExecuteThread.java:221) 2014 11월 13 18:16:51ERROR [ACTIVE] ExecuteThread: '4' for queue: 'weblogic.kernel.Default (self-tuning)' weblogic.work.ExecuteThread.execute(ExecuteThread.java:256) cmn.cmnQuery.selectResultSet()=> java.net.SocketException: Connection reset by peer: socket write error
Selected no image 데이터 짤림현상 [1]
유년상
4895 2014-11-11
7262 no image 엑셀 그리드에 붙여넣기 질문입니다. 파일 [1]
동긔나긔
4390 2014-11-11
7261 no image 그리드의 특정행 edit 모드 변경 [1]
용가리
4022 2014-11-11
7260 no image 그리드의 Lookup의 특정행 자동 선택 [1]
용가리
4085 2014-11-10
7259 no image ManagerEx설치 문의 [1]
원종근
5592 2014-11-04
게시판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양식에 맞게 입력해주세요. **필수입력사항** * 고객(업체)명 : (주)익스트림포스 * 제품 버전 : Gauce.net 5.0 * 문의 유형(질문/요청/참조) : 맥스컴퍼넌트 배포 * 내용 : 안녕하세요. 익스트림포스 원종근입니다. 1544-4171 저희는 7년전에 기본 제공한 MaxComponent를 거의 그대로 사용중입니다. ManagerEx로 잘 설치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최근에 MxDataSet.CAB과 MxGrid.Cab파일 2개를 버젼업 시키려고 합니다. 기존버젼 mxdataset.dll(1.2.1.83) mxgrid.dll(1.2.1.355) 바꿀버젼 mxdataset.dll(1.2.1.91) mxgrid.dll(1.2.1.357) 바꾸는 이유는 음수의 sumtext값이나 subsumtext값이 1씩 부족하게 처리되는 컴퍼넌트 오류를 개선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했습니다. 1. CAB파일이 보관된 서버의 file폴더에 MxDataSet.CAB파일과 MxGrid.Cab파일을 바꿀 버젼으로 올렸습니다. 2. file폴더속의 install.xml파일의 내용중 Version부분만 수정했습니다. (아래처럼) Component Version="1,2,1,91" CabFile="./MxDataSet.cab" CLSID="{2506B38B-0FF7-4249-BA3E-8BC1DC399FBB}" Name="MxDataSet" Component Version="1,2,1,357" CabFile="./MxGrid.cab" CLSID="{EA8B6EE6-3DD8-4534-B4BB-27148CF0042B}" Name="MxGrid" [문제증상] 위에처럼 작업 후에는 버젼이 바뀌었으니 브라우져로 접속시 ManagerEx가 떠야 하는데 뜨질 않네요. 강제로 activeX컴퍼넌트를 모두 지우면 ManagerEx가뜨기는 하는데 mxdataset버젼이 예전 버젼(1,2,1,83)으로 목록에는 표시되고, 설치된 파일은 바꿀버젼(1,2,1,91)으로 설치됩니다. [요청사항] ㅇ mxdataset의 버젼이 바뀌어도 ManagerEx가 뜰 수 있도록 부탁드립니다. (mxdataset이 없는 곳에는 잘 설치 되는데 버젼이 바뀔때는 설치화면이 뜨질 않습니다) ㅇ mx컴퍼넌트를 처음 설치하는 곳에 설치할때도 ManagerEx목록에 1,2,1,91버젼으로 제대로 표시 되길원합니다. (현재는 1,2,1,83으로 목록에 표시되고 설치는 1,2,1,91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ManagerEx를 이용해서 업데이트를 합니다. (아래 소스) <OBJECT ID="ManagerEx" CLASSID="CLSID:7A868592-7D06-44CF-ADF1-EF7517BD8F3A" codebase="../file/ManagerEx4.cab#version=4,0,1,9"> <param name="DownloadTitleText" value="파일 다운로드 중..."> <param name="TrustZone" value="http://food.expos.co.kr:82"> <param name="TrustZoneMessage" value="정상 적인 사용을 위하여 아래에 사이트를 신뢰 할 수 있는 사이트로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param name="WaitMessage" value="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param name="XMLUrl" value="../file/install.zip"> </OBJECT>
7258 no image SubSumText 에 대한 값을 dataset으로 사용 가능한지요 [2]
은서파파
4100 2014-11-03
7257 no image 가우스4.0 50077에러 문의입니다. [1]
ESP
4165 2014-11-03
7256 no image 윈도우 8.1 IE11에서 설치 [1]
원종근
4868 2014-10-31
7255 no image 패널 스크롤 허용 [1]
채승훈
4013 2014-10-31
7254 no image CSV 파일 업, 다운로드시 앞의 0 사라지는 문제 [1]
동긔나긔
4244 2014-10-31
7253 no image Preview()시 이미지저장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강남영
4376 2014-10-30
7252 no image 여러개 가우스 그리드 내용을 하나의 엑셀파일로 저장출력하기 [1]
에디야
4295 2014-10-29
7251 엑셀 데이터 로딩 건 파일 [1]
이삭이아빠
4152 2014-10-29
7250 no image MGrid 예제 요청 건 파일 [5]
이삭이아빠
4600 2014-10-29
Tag List
XE Login